오늘은 2025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롤드컵 2025)에 대한 모든 정보를 준비했습니다. 15주년을 맞이하는 이번 대회는 중국에서 개최되며, 특히 디펜딩 챔피언 T1의 4연패 도전과 LCK 4개 팀의 활약이 기대되는 대회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회 일정, 진출팀 정보, 4 시드 플레이인 매치, 그리고 중계 채널까지 자세히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 목 차 ◆
1.롤드컵 2025 대회 개요 및 스테이지별 일정
2. 중계 채널 및 시청 방법
3. LCK 진출팀 소개 및 4 시드 플레이인
4. 전 세계 주요 진출팀 분석
5. 스위스 스테이지 방식 변경 사항
1. 롤드컵 2025 대회 개요 및 스테이지별 일정
2025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은 LoL e스포츠 역사상 가장 권위 있는 대회로, 올해로 15주년을 맞이합니다. 전 세계 5대 메이저 리그를 대표하는 17개 최강팀이 소환사의 컵을 놓고 한 달에 가까운 기간 동안 치열한 경쟁을 펼칩니다.
1.1 대회 기본 정보
- 대회 기간: 2025년 10월 14일(화) ~ 11월 9일(일) ※현지 기준
- 개최 국가: 중국
- 경기 도시: 베이징, 상하이, 청두
- 참가팀 수: 총 17개 팀
- 전년도 우승팀: T1 (2024년 우승)
- 중계 플랫폼: SOOP, 네이버 치지직, 유튜브 LCK 채널, LoL e스포츠 공식 홈페이지
이번 대회는 중국에서 두 번째로 개최되는 만큼, 현지 팬들의 뜨거운 열기와 함께 세계적 수준의 시설에서 진행됩니다. 특히 LCK가 4년 연속 우승이라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향해 나아가는 만큼,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1.2 스테이지별 세부 일정
구분 | 일정 | 개최 도시 / 장소 | 참가팀 | 경기 방식 |
플레이인 스테이지 | 10월 14일(화) | 베이징 스마트 e 스포츠 센터 |
LCK 4시드 T1 vsLPL 4시드 인빅터스 게이밍(IG) | 5판 3선승제 단판 승부 |
스위스 스테이지 | 10월 15일(수) ~ 10월 25일(토) |
총 16개 팀 | 3승 시 8강 진출 3패시 탈락 |
|
토너먼트 스테이지 (녹아웃) |
10월 28일(화) ~ 11월 2일(일) |
상하이 메르세데스 벤츠 아레나 |
8개팀 | 싱글 엘리미네이션 5판 3선승제 |
결승전 | 11월 9일(일) | 청두 동안호 스포츠파크 다기능 체육관 |
최종 2개 팀 | 5판 3선승제 |
롤드컵 2025는 베이징, 상하이, 청두 등 중국 주요 도시에서 약 한 달간 진행됩니다. 플레이인 스테이지에서는 T1과 IG가 스위스 스테이지 진출을 놓고 단판 대결을 펼치며, 이후 16개 팀이 스위스 라운드 방식으로 8강 진출을 다툽니다. 상하이 메르세데스 벤츠 아레나에서 열리는 토너먼트 스테이지는 단판 탈락 방식으로 치열하게 진행되며, 최종 결승은 청두 동안호 스포츠 파크에서 소환사의 컵을 두고 대망의 우승팀을 가립니다.
2. 중계 채널 및 시청 방법
2025 롤드컵의 모든 경기는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무료로 시청할 수 있습니다.
2.1 국내 중계 플랫폼
- SOOP (숲)
- 한국어 공식 중계 / 전문 캐스터 해설 제공 / 채팅 기능으로 실시간 소통 가능
- 네이버 치지직
- 한국어 공식 중계 / 모바일 시청 최적화 / 하이라이트 클립 제공
- 유튜브 LCK 채널
- 무료 실시간 스트리밍 / 다시 보기 제공 /영상 화질 선택 가능 (최대 1080p)
2.2 글로벌 중계 플랫폼
- LoL e스포츠 공식 홈페이지 (LoLEsports.com)
- 전 세계 공식 중계 / 다양한 언어 선택 가능 / 실시간 통계 및 데이터 제공 / 특별 보상 획득 가능 (2025 e스포츠 캡슐 등)
2.3 시청 혜택
LoLEsports.com을 통해 경기를 시청하는 팬들은 펜타킬이나 내셔 남작 스틸과 같은 극적인 순간에 '2025 e스포츠 캡슐' 등 다양한 한정 보상을 무료로 획득할 수 있습니다. 이 캡슐에는 게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특별 아이템과 스킨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 LCK 진출팁 소개 및 4 시드 플레이인
한국(LCK)에서는 총 4개 팀이 출전하여 4년 연속 우승이라는 대기록에 도전합니다. LCK는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 연속 롤드컵을 제패하며 압도적인 강세를 보여왔습니다.
3.1 LCK 진출팀 명단
- 1번 시드: 젠지 e스포츠 (Gen.G)
- LCK 2025 서머 시즌 우승팀 / 강력한 우승 후보로 평가 / 스위스 스테이지 1부(티어 1) 직행
- 2번 시드: 한화생명 e스포츠 (Hanwha Life Esports)
- LCK를 대표하는 강팀 / 균형 잡힌 팀 구성으로 주목 / 스위스 스테이지 2부(티어 2) 배정
- 3번 시드: KT 롤스터 (KT Rolster)
- 전통의 명가로 불리는 팀 / 베테랑 선수들의 노련함 기대 / 스위스 스테이지 조 추첨 결과에 따라 2부 또는 3부 배정
- 4번 시드: T1
- 2024년 롤드컵 우승팀 (디펜딩 챔피언) / LoL e스포츠 역사상 최다 우승(5회) 기록 보유 / 플레이인 스테이지부터 출전
3.2 T1 vs IG: 전설의 플레이인 매치
10월 14일, 롤드컵 2025의 막을 여는 개막전은 T1과 인빅터스 게이밍(IG)의 대결입니다. 이 경기는 단순한 개막전이 아니라, 두 팀의 운명을 가르는 '단두대 매치'입니다.
- T1 (LCK 4번 시드)
- 2024년 롤드컵 우승팀 / 2023년, 2024년 2연패 달성
- 월드 챔피언십 무대에서 LPL 팀 상대 5전 3선 승제 기준 10연승 기록 중
- 핵심 선수: 페이커(Faker) 이상혁, 더샤이(TheShy) 강승록
- 인빅터스 게이밍 (LPL 4번 시드)
- 2018년 롤드컵 우승팀 (LPL 최초) / 중국 팬들의 뜨거운 지지
- 핵심 선수: 루키(Rookie) 송의진
두 팀의 통산 상대 전적은 세트 기준 3승 1패로 IG가 근소하게 앞서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흐름은 T1 쪽으로 기울어져 있어,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치열한 승부가 예상됩니다. 특히 '페이커' 이상혁과 '루키' 송의진의 맞대결은 5~6년 전의 전설적인 대결을 재현하는 것으로, 전 세계 팬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두 선수 모두 여전히 각 팀의 핵심 멤버로 활약하고 있어 '전설의 재회'가 이뤄지는 셈입니다. 승자는 스위스 스테이지로 진출하며, 패자는 즉시 대회에서 탈락합니다. 디펜딩 챔피언의 자존심을 지킬 것인지, 과거의 영광을 되찾을 것인지... 개막전부터 뜨거운 열기가 예상됩니다.
4. 전 세계 주요 진출팀 분석
롤드컵 2025에는 전 세계 5대 메이저 리그를 대표하는 17개 팀이 출전합니다. 각 지역별 주요 팀들을 소개합니다.
4.1 LPL (중국)
개최국인 중국은 홈 어드밴티지를 앞세워 LCK의 4연패를 저지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습니다.
- 빌리빌리 게이밍 (BLG): LPL 대표 강팀, 공격적인 운영으로 유명
- 애니원즈 레전드 (AL): 신흥 강호로 떠오른 팀
- 톱 이스포츠 (TES): 전통의 강호, 풍부한 국제 대회 경험
- 인빅터스 게이밍 (IG): 플레이인 출전, 2018년 우승 경력
4.2 EMEA (유럽·중동·아프리카)
유럽은 전통적으로 강력한 팀들을 배출해 왔으며, 이번에도 명문 팀들이 출전합니다.
- G2 e스포츠: 유럽 최강팀 중 하나, 크리에이티브한 플레이로 유명
- 프나틱 (Fnatic): 유럽의 전통 명가, 오랜 역사와 팬층 보유
4.3 아메리카스 (북미·남미)
- 플라이퀘스트 (FlyQuest): 북미를 대표하는 강팀, 꾸준한 성장세
4.4 기타 지역
- PCS (퍼시픽 챔피언십 시리즈): 대만, 홍콩, 마카오 등을 대표하는 팀들
- VCS (베트남 챔피언십 시리즈): 동남아시아의 떠오르는 강자
5. 스위스 스테이지 방식 변경 사항
올해 롤드컵부터는 스위스 스테이지 조 추첨 방식이 변경되어 더욱 공정하고 흥미로운 대진이 예상됩니다.
5.1 새로운 조 추첨 방식
- 티어 구성
- 1부 (티어 1): 5대 메이저 리그의 1번 시드 5개 팀
- 2부 (티어 2): 각 지역 2번 시드 + 플레이인 승자 지역의 3번 시드
- 3부 (티어 3): 나머지 3번 시드 팀들 + 플레이인 승리팀
5.2 플레이인 승자 지역 혜택
플레이인에서 승리한 팀이 속한 지역의 3번 시드는 자동으로 2부(티어 2)로 승격되는 혜택을 받습니다. 예를 들어, T1이 플레이인에서 승리할 경우 LCK 3번 시드인 KT 롤스터가 2부로 승격됩니다.
5.3 매칭 방식
- 1라운드
- 1부 vs 3부 매칭
- 2부 vs 2부 매칭
- 같은 지역 팀끼리는 만나지 않음
- 2라운드 이후
- 같은 전적끼리 매칭 (예: 1승 vs 1승, 1패 vs 1패)
- 이전에 만난 상대와는 재대결하지 않음
- 같은 지역 팀끼리 가능한 피하되, 불가피한 경우 매칭 가능
5.4 진출 및 탈락 조건
- 8강 진출: 3승 달성 시 (진출 결정전은 3판 2선 승제)
- 탈락: 3패 기록 시 (탈락 결정전은 3판 2선 승제)
- 일반 경기: 단판으로 진행
5.5 녹아웃 스테이지 시드 배정
스위스 스테이지에서 3승 0패를 기록한 팀은 3승 2패를 거둔 팀과 8강에서 맞붙게 되며, 결승전 이전까지 서로 만나지 않도록 대진표 반대편에 배치되는 큰 이점을 얻습니다. 따라서 스위스 스테이지에서의 성적이 토너먼트 진출 후 대진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의 주요 일정, 진출팀, 4 시드 플레이인 매치, 스위스 스테이지 변경 사항, 그리고 중계 정보까지 상세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특히 10월 14일 저녁에 펼쳐지는 T1 vs IG의 개막전은 디펜딩 챔피언과 전 우승팀의 대결로, 롤드컵의 시작을 알리는 불꽃같은 경기가 될 것입니다.
LCK의 4년 연속 우승 도전과 각국 최강팀들의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는 만큼, 전 세계 팬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SOOP, 네이버 치지직, 유튜브 LCK 채널 등에서 무료로 실시간 중계되니 우리 대한민국 선수들을 함께 응원해 주시기 바랍니다. 15주년을 맞이하는 롤드컵이 LoL e스포츠 역사에 남을 명장면들로 가득하길 기대하며, LCK 팀들의 우승을 함께 응원하겠습니다!
'스포츠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2025 티켓 예매, 참가선수, 우승 상금 및 중계 정보 완벽 정리 (0) | 2025.10.16 |
---|---|
2025 KBO 플레이오프 일정, 티켓 예매, 경기 방식 및 실시간 중계 완벽 가이드( 한화 이글스 vs 삼성 라이온즈 ) (0) | 2025.10.15 |
한국 파라과이 축구 실시간 중계, 출전 명단 및 경기 분석 완벽 정리( 국가대표 평가전 대한민국 vs 파라과이) (1) | 2025.10.14 |
뷰익 LPGA 상하이 우승상금, 경기 일정, 실시간 중계, 한국 출전선수 총정리 (0) | 2025.10.10 |
한국 브라질 축구 실시간 중계 정보 및 손흥민 대표팀 명단, 평가전 일정 총정리 (대한민국 vs 브라질) (0) | 2025.10.10 |